마인크래프트 1.21.9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기존에 쓰던 리소스팩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 당황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특히 어두운 동굴에서 필수인 감마 리소스팩이 적용되지 않으면 채굴조차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리소스 새로 고침 실패" 오류 메시지가 뜨거나, 리소스팩을 적용했는데도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황은 생각보다 흔합니다. 버전이 바뀔 때마다 pack.mcmeta 파일의 pack_format 값이 달라지고, 옵티파인이나 패브릭 같은 모드 로더와의 호환성 문제도 발생합니다.
더 복잡한 문제는 해상도별로 FPS 최적화가 달라지고, 셰이더와 충돌하며, 리소스팩 우선순위 설정이 꼬이면서 원하는 텍스처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 글에서는 Windows와 macOS에서 리소스팩 폴더를 찾는 정확한 경로부터, pack.mcmeta 파일 수정 방법, 옵티파인과 패브릭 호환성, 자주 발생하는 오류 10가지와 해결책까지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리소스팩 다운로드와 경로 찾기
리소스팩을 적용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1.21.9 버전과 호환되는 리소스팩을 다운로드하는 것입니다. 마인크래프트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는 CurseForge, Modrinth, Planet Minecraft입니다. 이 사이트들은 바이러스 검사를 거친 안전한 파일만 제공하며, 버전별로 분류되어 있어 1.21 이상 버전용 리소스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할 때는 반드시 파일 형식이 .zip인지 확인하고, 절대로 압축을 풀지 마세요.
Windows에서 리소스팩 폴더를 찾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마인크래프트 런처를 실행한 후 게임에 접속하여 옵션 메뉴로 들어갑니다. 리소스팩 버튼을 클릭하면 왼쪽 하단에 "팩 폴더 열기" 버튼이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리소스팩이 저장되어야 하는 폴더가 열립니다. 수동으로 찾으려면 Windows 키 + R을 누르고 %appdata% 를 입력한 후, .minecraft 폴더로 들어가서 resourcepacks 폴더를 찾으면 됩니다. 정확한 경로는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minecraft\resourcepacks 입니다.
macOS에서는 경로가 조금 다릅니다. Finder를 열고 상단 메뉴에서 "이동" 메뉴를 클릭한 후 Option 키를 누르면 "라이브러리" 항목이 나타납니다. 라이브러리 폴더로 들어가서 Application Support 폴더를 찾고, 그 안에 있는 minecraft 폴더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resourcepacks 폴더를 찾을 수 있으며, 정확한 경로는 ~/Library/Application Support/minecraft/resourcepacks 입니다. 만약 resourcepacks 폴더가 없다면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
다운로드한 리소스팩 파일을 resourcepacks 폴더에 복사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압축 파일을 풀지 않고 .zip 파일 그대로 넣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압축을 풀어서 폴더째로 넣는데, 이렇게 하면 마인크래프트가 리소스팩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여러 개의 리소스팩을 동시에 넣을 수 있으며, 게임 내에서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원하는 순서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팩 파일 이름에 특수문자나 한글이 포함되어 있으면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일 이름을 영문과 숫자, 언더바만 사용하도록 변경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예를 들어 "감마팩.zip"은 "gamma_pack.zip"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파일 용량이 너무 크면 로딩 시간이 길어지거나 메모리 부족으로 게임이 튕길 수 있으므로, 512x512 이상의 초고해상도 리소스팩은 RAM이 충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운영체제 | 리소스팩 경로 | 단축키 | 주의사항 |
---|---|---|---|
Windows |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minecraft\resourcepacks | Win+R → %appdata% | 숨김 폴더 표시 필요 |
macOS | ~/Library/Application Support/minecraft/resourcepacks | Option+이동 메뉴 | 라이브러리 폴더 접근 |
Linux | ~/.minecraft/resourcepacks | Ctrl+H 숨김파일 표시 | 대소문자 구분 |
리소스팩 적용과 우선순위 설정
리소스팩 파일을 resourcepacks 폴더에 넣은 후 마인크래프트로 돌아오면 자동으로 새로고침됩니다. 만약 자동으로 새로고침되지 않는다면 리소스팩 메뉴를 닫았다가 다시 열면 됩니다. 왼쪽 "사용 가능"란에 추가한 리소스팩이 표시되는데, 각 팩의 아이콘과 이름,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팩 아이콘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제작자 정보와 지원 버전이 툴팁으로 나타나므로, 1.21 이상을 지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리소스팩을 적용하려면 원하는 팩을 선택한 후 오른쪽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거나, 팩 아이콘을 클릭한 채로 드래그하여 오른쪽 "선택됨"란으로 옮깁니다. 여러 개의 리소스팩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위쪽에 있는 팩일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집니다. 우선순위가 높은 팩의 텍스처가 낮은 팩의 텍스처를 덮어쓰므로, 순서가 매우 중요합니다. 완료 버튼을 누르면 리소스팩이 적용되며, 몇 초간 로딩 화면이 나타납니다.
감마 리소스팩처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팩은 가장 위쪽에 배치해야 정상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바닥 텍스처를 바꾸는 팩과 감마 팩을 함께 사용한다면, 감마 팩을 위쪽에 두어야 밝기 조정이 제대로 적용됩니다. 반대로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을 바꾸는 팩은 우선순위가 낮아도 상관없습니다. 리소스팩 우선순위는 나중에 언제든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순서를 바꿔가며 테스트하세요.
일부 리소스팩은 상호 의존성이 있어 특정 순서로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tay True 같은 바닐라 개선 팩과 Fresh Animations 같은 애니메이션 팩을 함께 쓸 때는, 텍스처 팩을 먼저 두고 애니메이션 팩을 나중에 두어야 합니다. 제작자가 권장하는 순서가 있다면 리소스팩 설명 페이지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다운로드하기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소스팩을 적용한 후 텍스처가 이상하게 보이거나 일부만 적용되는 경우, F3 + T 키를 눌러 리소스를 강제로 새로고침할 수 있습니다. 이 키 조합은 게임 내에서 모든 텍스처와 모델을 다시 로드하므로, 적용이 제대로 안 된 것처럼 보일 때 유용합니다. 다만 새로고침 중에는 화면이 일시적으로 멈추므로, 안전한 장소에서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소스팩 적용 후 게임이 느려지거나 렉이 생긴다면 해상도가 너무 높은 팩을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본 마인크래프트는 16x16 픽셀 텍스처를 사용하는데, 32x32, 64x64, 128x128 같은 고해상도 팩은 그래픽 성능이 좋아야 합니다. 저사양 컴퓨터라면 16x나 32x 리소스팩을 사용하고, 고사양이라면 128x 이상도 부드럽게 즐길 수 있습니다.
pack.mcmeta 파일 버전 호환 설정
pack.mcmeta 파일은 리소스팩의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는 JSON 형식의 파일로, 팩의 버전 호환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파일입니다. 마인크래프트 버전마다 요구하는 pack_format 값이 다르며, 이 값이 맞지 않으면 "호환되지 않는 버전"이라는 오류와 함께 리소스팩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1.21.9 버전에서는 pack_format 값이 34여야 정상적으로 인식됩니다. 1.20 버전이 15, 1.21 버전이 32였으므로 버전업마다 값이 변경됩니다.
pack.mcmeta 파일을 수정하려면 먼저 리소스팩 .zip 파일을 압축 해제 프로그램으로 엽니다. Windows 기본 압축 해제 프로그램이나 7-Zip, WinRA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압축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내부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최상위 폴더에 pack.mcmeta 파일이 있으므로 이를 메모장이나 VSCode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엽니다.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
"pack": {
"pack_format": 34,
"description": "리소스팩 설명"
}
}
pack_format 값을 34로 변경한 후 저장하고, 수정된 파일을 압축 파일에 다시 넣습니다. 압축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드래그하여 교체하거나, 우클릭하여 "압축 파일에 추가"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수정이 완료된 리소스팩을 resourcepacks 폴더에 다시 넣고 마인크래프트에서 새로고침하면 오류 없이 적용됩니다. 만약 JSON 형식이 잘못되면 파일 자체가 인식되지 않으므로, 중괄호와 쉼표, 따옴표를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일부 리소스팩 제작자는 여러 버전을 지원하기 위해 supported_formats 항목을 추가합니다. 이 항목을 사용하면 하나의 리소스팩으로 여러 마인크래프트 버전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1.20부터 1.21까지 모두 지원합니다.
{
"pack": {
"pack_format": 34,
"supported_formats": [15, 32, 34],
"description": "멀티 버전 지원 리소스팩"
}
}
description 항목은 리소스팩 선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설명 텍스트입니다. 여기에 버전 정보나 제작자 이름, 간단한 사용 방법 등을 적을 수 있으며, 한글도 지원됩니다. 줄바꿈을 하려면 \n을 사용하고, 색상 코드를 추가하려면 § 기호와 색상 코드를 조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61.21.9 전용 감마 팩"이라고 쓰면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
pack.mcmeta 파일이 없거나 형식이 잘못된 리소스팩은 "잘못된 팩 형식"이라는 오류와 함께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직접 pack.mcmeta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데, 메모장에서 위 형식대로 입력하고 파일 이름을 pack.mcmeta로 저장한 후 압축 파일의 최상위 폴더에 넣으면 됩니다. 파일 확장자가 .txt로 저장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모든 파일" 형식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마인크래프트 버전 | pack_format 값 | 주요 변경사항 |
---|---|---|
1.19.x | 9-12 | 와일드 업데이트 |
1.20.x | 15-18 | 트레일즈 업데이트 |
1.21.0-1.21.3 | 32 | 트리키 트라이얼즈 |
1.21.4 이상 | 34 | 최신 형식 |
옵티파인과 패브릭 호환성 완벽 정리
옵티파인은 마인크래프트의 그래픽 성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는 모드입니다. 많은 리소스팩, 특히 감마 리소스팩이나 HD 텍스처 팩은 옵티파인을 필수로 요구합니다. 1.21.9 버전용 옵티파인을 설치하려면 옵티파인 공식 웹사이트에서 해당 버전의 .jar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더블클릭하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마인크래프트 런처에서 Optifine 프로필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옵티파인을 설치한 상태에서 리소스팩을 적용할 때 주의할 점은 셰이더와의 충돌입니다. 감마 리소스팩은 밝기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셰이더도 밝기와 색상을 제어하므로 둘이 동시에 켜져 있으면 충돌이 발생합니다. 감마 팩을 사용할 때는 옵션 메뉴에서 셰이더를 "꺼짐"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반대로 셰이더를 사용하고 싶다면 감마 팩 대신 셰이더의 밝기 설정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패브릭은 가벼운 모드 로더로, 옵티파인 대신 Sodium, Iris 같은 성능 최적화 모드를 사용할 때 필요합니다. 패브릭 환경에서 리소스팩을 사용하려면 Fabric API를 먼저 설치해야 하며, 일부 리소스팩은 옵티파인 전용 기능을 사용하므로 패브릭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IT, CEM 같은 고급 커스터마이징 기능은 옵티파인 전용이므로, 패브릭에서 사용하려면 별도의 모드가 필요합니다.
옵티파인과 패브릭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으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OptiFabric이라는 모드를 사용하면 패브릭 환경에서 옵티파인을 실행할 수 있지만, 최신 버전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1.21.9 버전에서는 옵티파인 단독 사용이나 패브릭 + Sodium + Iris 조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감마 리소스팩 중 일부는 옵티파인 없이도 작동하는 버전이 있습니다. Fullbright 리소스팩은 순수 바닐라 환경에서도 밝기를 최대로 올려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1.21 이상 버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이런 팩은 pack.mcmeta 파일만 올바르게 설정하면 모드 없이도 사용할 수 있어 멀티플레이 서버에서도 제한 없이 쓸 수 있습니다.
모드 충돌을 최소화하려면 필요한 모드만 설치하고,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드는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odium과 옵티파인은 둘 다 렌더링을 최적화하므로 동시에 쓸 수 없습니다. 모드 목록을 정리하고, 리소스팩 요구사항에 맞는 모드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드 충돌 로그는 .minecraft/logs 폴더의 latest.log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별 FPS 최적화 가이드
마인크래프트 리소스팩은 해상도에 따라 16x, 32x, 64x, 128x, 256x, 512x 등으로 분류됩니다. 기본 텍스처는 16x16 픽셀이며, 숫자가 클수록 더 세밀하고 현실적인 텍스처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시스템 리소스를 많이 소모합니다. 저사양 컴퓨터에서 고해상도 리소스팩을 사용하면 FPS가 크게 떨어지고, 심한 경우 게임이 멈추거나 튕길 수 있습니다.
16x 리소스팩은 바닐라와 동일한 해상도이므로 성능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Stay True, Faithful, Bare Bones 같은 인기 있는 바닐라 개선 팩들은 대부분 16x 또는 32x로 제공되어 저사양에서도 부드럽게 작동합니다. 이런 팩들은 기본 텍스처의 느낌을 유지하면서 색감과 디테일을 개선하므로, 성능 저하 없이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최선의 선택입니다.
32x 리소스팩은 16x보다 4배 많은 픽셀을 사용하지만, 현대적인 컴퓨터라면 대부분 문제없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통합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노트북에서도 32x 정도는 무난하게 돌아가며, FPS 감소는 5~10 정도에 그칩니다. 중간 해상도로 디테일과 성능의 균형이 좋아 가장 많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해상도입니다.
64x부터는 전용 그래픽 카드가 권장됩니다. 블록 하나당 4096개의 픽셀을 렌더링해야 하므로, 통합 그래픽으로는 버벅거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8x 리소스팩은 고성능 게이밍 PC에서나 부드럽게 작동하며, RAM도 최소 8GB 이상 필요합니다. 256x 이상의 초고해상도 팩은 4K 모니터와 RTX 그래픽 카드를 갖춘 최상위 사양에서만 권장됩니다.
FPS를 최적화하려면 옵티파인의 성능 설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비디오 설정에서 "빠름" 그래픽 모드를 선택하고, 밉맵 레벨을 0으로 낮추고, 이방성 필터링을 끄면 고해상도 텍스처에서도 FPS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렌더 거리를 줄이고, 부드러운 조명을 끄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이런 설정들은 그래픽 품질을 약간 희생하지만 성능은 크게 향상됩니다.
RAM 할당량을 늘리는 것도 고해상도 리소스팩 사용 시 필수입니다. 마인크래프트 런처에서 프로필 편집으로 들어가 JVM 인수를 수정하여 RAM을 더 할당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2GB인데, 64x 이상 리소스팩을 사용한다면 4GB 이상을 할당하는 것이 좋습니다. -Xmx4G처럼 숫자를 조정하면 되며, 시스템 전체 RAM의 절반 이상은 할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해상도 | 권장 사양 | 평균 FPS 영향 | 대표 리소스팩 |
---|---|---|---|
16x | 모든 PC | 영향 없음 | Stay True, Bare Bones |
32x | 통합 그래픽 | -5~10 FPS | Faithful, Vanilla Tweaks |
64x | 전용 그래픽 | -15~25 FPS | Mizuno's 16 Craft, John Smith Legacy |
128x | GTX 1060급 | -30~50 FPS | Realistico, Flows HD |
256x+ | RTX 3060급 | -50~80 FPS | Ultimate Immersion |
자주 발생하는 리소스팩 오류 10가지
첫 번째 오류는 "리소스 새로 고침 실패"입니다. 이 오류는 pack.mcmeta 파일의 pack_format 값이 현재 마인크래프트 버전과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1.21.9에서는 34여야 하는데 다른 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리소스팩이 로드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은 앞서 설명한 대로 pack.mcmeta 파일을 열어 pack_format을 34로 수정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호환되지 않는 팩" 경고입니다. 리소스팩 목록에서 빨간색 X표시와 함께 나타나며, 적용은 되지만 일부 텍스처가 누락되거나 깨질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이는 리소스팩이 이전 버전용으로 제작되었지만 대부분의 리소스는 여전히 호환될 때 나타납니다. 큰 문제가 아니라면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중요한 텍스처가 깨진다면 최신 버전 팩을 찾아야 합니다.
세 번째는 텍스처가 보라색과 검은색 체크무늬로 표시되는 오류입니다. 이는 리소스팩에서 해당 블록의 텍스처 파일을 찾을 수 없을 때 나타나는 기본 오류 텍스처입니다. 텍스처 파일 경로가 잘못되었거나, 파일 이름이 변경된 블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21 버전에서는 일부 블록의 내부 이름이 변경되었으므로, 제작자가 업데이트하지 않은 구버전 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네 번째는 리소스팩이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파일을 resourcepacks 폴더에 넣었는데도 게임 내에서 보이지 않는다면, 압축을 풀어서 넣었거나 파일 구조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zip 파일을 열어서 최상위 폴더에 pack.mcmeta와 assets 폴더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한 단계 위로 파일들을 이동시켜야 합니다.
다섯 번째는 감마 리소스팩이 작동하지 않는 오류입니다. 리소스팩은 적용되었는데 어두운 곳이 여전히 어둡다면, 옵티파인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셰이더가 켜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옵티파인을 설치하고, 옵션 메뉴에서 비디오 설정 > 셰이더를 "꺼짐"으로 설정한 후 게임을 재시작하세요.
여섯 번째는 리소스팩 적용 후 게임이 느려지는 문제입니다. 고해상도 텍스처를 사용하면 VRAM과 RAM을 많이 소모하므로, 시스템 사양이 부족하면 FPS가 크게 떨어집니다. 해결 방법은 낮은 해상도의 리소스팩으로 변경하거나, 옵티파인 설정에서 밉맵과 이방성 필터링을 끄는 것입니다. RAM 할당을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일곱 번째는 특정 블록만 텍스처가 적용되지 않는 오류입니다. 리소스팩 우선순위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며, 여러 리소스팩을 동시에 사용할 때 아래쪽 팩의 텍스처가 위쪽 팩에 의해 가려질 수 있습니다. 리소스팩 메뉴에서 순서를 바꿔가며 테스트하거나, 필요 없는 팩을 제거하는 것이 해결책입니다.
여덟 번째는 서버에서 리소스팩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입니다. 멀티플레이 서버 중 일부는 감마 팩이나 X-Ray 팩 사용을 금지하며, 서버 측에서 강제로 차단합니다. 이 경우 싱글플레이에서는 정상 작동하지만 서버에서는 막히므로, 서버 규칙을 확인하고 허용된 리소스팩만 사용해야 합니다.
아홉 번째는 리소스팩 다운로드 후 파일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다운로드 중 네트워크 오류로 파일이 불완전하게 저장되면, 압축 파일을 열 수 없거나 일부 텍스처가 누락됩니다. 이 경우 파일을 삭제하고 다시 다운로드해야 하며,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만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열 번째는 언어 설정에 따른 텍스처 오류입니다. 일부 리소스팩은 특정 언어에서만 제대로 작동하도록 제작되었으며, 한글 언어팩과 충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거나, 한글을 지원하는 리소스팩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주요 리소스팩은 다국어를 지원하지만, 소규모 제작자의 팩은 영어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팩 완벽 적용 체크리스트
마인크래프트 1.21.9에서 리소스팩을 완벽하게 적용하려면 순서대로 체크리스트를 따라야 합니다. 첫 번째 단계는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1.21 이상 버전을 지원하는 리소스팩을 다운로드하는 것입니다. CurseForge, Modrinth, Planet Minecraft 같은 공식 커뮤니티 사이트를 이용하고, 바이러스 검사를 거친 파일만 받아야 합니다. 파일 형식이 .zip인지 확인하고, 절대 압축을 풀지 마세요.
두 번째는 resourcepacks 폴더를 찾아 다운로드한 파일을 복사하는 것입니다. Windows는 %appdata%.minecraft\resourcepacks, macOS는 ~/Library/Application Support/minecraft/resourcepacks 경로를 사용합니다. 폴더가 없다면 직접 만들어야 하며, 파일 이름에 특수문자나 한글이 있다면 영문으로 바꾸는 것이 안전합니다.
세 번째는 게임 내에서 리소스팩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옵션 메뉴 > 리소스팩으로 들어가서 왼쪽 "사용 가능"란에 추가한 팩이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원하는 팩을 선택하여 오른쪽 "선택됨"란으로 옮기고, 여러 팩을 사용한다면 우선순위를 조정합니다. 감마 팩처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팩은 가장 위쪽에 배치하세요.
네 번째는 pack.mcmeta 파일의 버전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입니다. 호환되지 않는 팩 경고가 뜬다면 압축 파일을 열어 pack.mcmeta의 pack_format 값을 34로 변경합니다. JSON 형식을 정확히 지키고, 중괄호와 쉼표를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수정 후 파일을 저장하고 압축 파일에 다시 넣어야 합니다.
다섯 번째는 옵티파인이나 패브릭 같은 필수 모드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감마 리소스팩이나 HD 텍스처 팩은 대부분 옵티파인을 요구하므로, 공식 사이트에서 1.21.9 버전용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옵티파인을 설치했다면 셰이더를 "꺼짐"으로 설정하여 감마 팩과의 충돌을 방지하세요.
여섯 번째는 F3 + T 키로 리소스를 강제 새로고침하는 것입니다. 적용이 제대로 안 된 것처럼 보일 때 이 키 조합을 누르면 모든 텍스처가 다시 로드됩니다. 몇 초간 화면이 멈추지만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그래도 안 된다면 게임을 완전히 재시작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일곱 번째는 시스템 사양에 맞는 해상도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저사양이라면 16x나 32x 리소스팩을 사용하고, 고사양이라면 64x 이상도 괜찮습니다. RAM 할당을 늘리고, 옵티파인 설정에서 밉맵과 이방성 필터링을 끄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렌더 거리도 줄이면 FPS가 크게 향상됩니다.
여덟 번째는 멀티플레이 서버 규칙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감마 팩이나 X-Ray 팩은 일부 서버에서 금지되므로, 서버 규정을 먼저 읽고 허용된 리소스팩만 사용해야 합니다. 위반 시 밴을 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싱글플레이에서는 모든 리소스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완벽한 리소스팩 적용으로 새로운 마인크래프트 경험하기
마인크래프트 1.21.9 리소스팩 적용은 복잡해 보이지만, 단계별로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올바른 버전의 리소스팩을 다운로드하고, resourcepacks 폴더에 압축 파일 그대로 넣는 것입니다. pack.mcmeta 파일의 pack_format 값을 34로 설정하면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옵티파인 같은 필수 모드를 설치하면 감마 팩이나 HD 텍스처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팩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원하는 텍스처 조합을 만들고, 시스템 사양에 맞는 해상도를 선택하면 성능 저하 없이 아름다운 그래픽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면 체크리스트를 다시 확인하고, 모드 충돌이나 파일 손상 여부를 점검하세요. F3 + T 키로 강제 새로고침하거나 게임을 재시작하면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됩니다.
멀티플레이 서버에서는 서버 규칙을 확인하여 허용된 리소스팩만 사용하고, 싱글플레이에서는 다양한 리소스팩을 자유롭게 실험해보세요. 바닐라 개선 팩, 리얼리즘 팩, 판타지 팩, 만화 스타일 팩 등 취향에 맞는 텍스처를 찾아 마인크래프트를 완전히 새로운 게임처럼 즐길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저장해두고 리소스팩 적용이 막힐 때마다 참고하여 완벽한 마인크래프트 환경을 만들어보세요.
0 댓글